Home 더 많은 뉴스 한국 정부, 캄보디아 한국인 납치 사기 사건 이후 유엔 지원 요청

한국 정부, 캄보디아 한국인 납치 사기 사건 이후 유엔 지원 요청

60
0
한국 정부, 캄보디아 한국인 납치 사기 사건 이후 유엔 지원 요청

한국은 온라인 사기 행위와 관련된 인신매매 근절을 위해 유엔에 더욱 강력한 글로벌 협력을 촉구했습니다. 김진나 외교부 2차관(가운데)이 이끄는 정부 대응팀이 지난 1일 캄보디아 프놈펜의 온라인 사기 단지를 점검했다. 사진=연합/EPA

서울, 10월 17일 (UPI) — 캄보디아 내 한국인 납치 및 학대에 대한 국내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한국 정부는 온라인 사기 행위와 연계된 인신매매 근절을 위해 유엔에 더욱 강력한 글로벌 협력을 촉구했습니다.

한국의 김상진 부대변인은 목요일 유엔 총회에서 이 문제를 제기하면서 부패 중심지와 연결된 인신매매 네트워크가 점점 더 국제적인 위협이 되고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김 의원은 인권위 위원장과의 통화에서 “최근 대한민국 국민과 동남아 지역 국가를 대상으로 한 온라인 사기 사건이 증가하는 등 새로운 형태의 초국가적 범죄와 연계돼 있어 국제적 공조가 더욱 강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 변호사는 “인신매매는 개인의 생명권과 안전권을 위협하며 국제인권법을 심각하게 위반하는 행위”라고 말했다. “이를 외면하는 것은 우리 모두의 집단적 책임을 저버리는 것이며, 이는 일생의 상실, 수많은 희생자들의 실종과 죽음으로 이어진다.”

그의 발언은 캄보디아에서 수백 명의 시민이 사기와 관련하여 납치되거나 강제 노동을 당했다는 보도에 대한 한국의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것입니다.

대부분의 사건은 대규모 보이스피싱 조직과 불법 도박 활동을 벌이는 다국적 범죄조직과 연관돼 있다. 피해자들은 가짜 구인 제안에 끌려 자신의 의지에 반해 구금됩니다.

정부는 캄보디아에서 납치된 한국인의 수가 지난 2년 동안 증가해 2024년 220명, 올해 8월 현재 330명으로 신고됐다고 밝혔다. 지난해에는 평균 10~20건의 납치 사건이 보고됐다.

이 문제는 지난 8월 캄폿(Kampot) 지방 보코르산 근처에서 고문을 당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는 한국 대학생의 시신이 발견되면서 대중의 분노를 촉발시켰다. 캄보디아 검찰은 중국인 3명을 살인과 사기 혐의로 기소했다고 국영 크메르 언론이 지난주 보도했다.

한국 외교부는 수요일 포이펫(Poipet), 바벳(Bavet), 보코르(Bokor) 고원을 포함한 캄보디아 여러 지역에 대해 최고 경보 단계인 ‘코드 블랙(code-black)’ 여행 금지 조치를 내렸다. 정부는 부처간 합동대응팀을 파견해 위기 상황에 대처하고 우리 국민의 귀국을 감시하고 있다.

이번 주에 한국인 4명이 귀국했다고 금요일 연합뉴스가 보도했으며, 아직 59명이 귀국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화요일, 영국과 미국은 사이버 사기 범죄를 저지른 혐의로 기소된 캄보디아 기반 다국적 네트워크인 프린스 그룹(Prince Group)에 제재를 가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유엔 인권 조사관들은 캄보디아와 인근 국가에 있는 사기 센터가 아시아 전역의 수백만 명의 피해자가 연루된 광대한 지역 인신매매 네트워크의 일부라고 밝혔습니다. 이들 중 다수는 폭력과 강제 노동을 당하고 있습니다.

인권특별협력팀은 지난 5월 “상황이 인도주의적, 인권 위기 수준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국제앰네스티는 6월 보고서에서 캄보디아 정부가 스캔들에 휩싸인 캄보디아 내 약 53개 건물에서 노예제, 인신매매, 아동 노동, 고문 등 인권 유린을 ‘의도적으로 무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앰네스티는 또한 “인권 침해가 계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건물을 폐쇄하지 못한 중국 경찰과 캄보디아 경찰 사이의 조정과 공모 가능성”도 시사했다.

소스 링크